본문 바로가기
경영/트렌드

ESG 사례 - 씨젠

by 정 갱 2023. 7. 11.
반응형

저희 조가 ESG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1등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주제를 미리 선정하였다는 것입니다. ESG 교육을 수강하기 전 ESG란 무엇인지, 어떠한 사례가 있었는지 찾아보고 평가가 좋지 않았던 기업 중 '씨젠'을 알게 되었습니다.

 

1. 씨젠의 ESG 평가

씨젠은 분자 진단용 시약 및 기기를 개발하고 원천 기술을 확보하는 기업입니다.

주식을 하는 사람들에겐 매우 익숙한 기업일텐데요.

코로나 19가 확산될 시기에 코로나 진단키트를 만들어서 배포하고 세계의 보건에 이바지하여 주가가 크게 오른 기업입니다.

 

이러한 씨젠에게는 큰 문제가 있었는데 바로 ESG 평가가 좋지 않다는 것입니다.

ESG 평가가 좋지 않은게 왜 문제일까요?

바로 재무적 이익만을 신경쓰고 비재무적 요소를 신경쓰지 않아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평가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에 따르는 ESG 평가에서 씨젠은

E(환경) 부문 D등급,

S(사회) 부문 C등급,

G(지배구조) 부문 D 등급을 받았습니다.

D 등급은 가장 낮은 등급입니다.

 

씨젠의 경영에서 어떠한 문제가 있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씨젠의 문제점

씨젠이 ESG 평가 최하 등급을 받게된 배경으로는

E (환경) 부문에서 유독성 물질 배출의 과다, 폐기물 관리 실패 등의 이유가 있었습니다.

S (사회) 부문에서 여성이나 사회적 약자의 고용률이 저조하였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노력이 타 기업에 비해 부족하였습니다.

G (지배구조) 부문에서 담당 직원의 권고 사직이라는 일이 있었고, 분식 회계에 의해 회사 이미지가 실추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방법이 있을지 우리 팀이 직접 CEO, CMO 등이 되어 회의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습니다.

 

3. 해결방안

씨젠의 ESG 평가를 찾아보면서 경쟁업체인 삼성바이오로직스의 ESG 평가는 A등급으로 나타난 사실을 파악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지속가능보고서를 보면서 환경 분야 해결방안을 비교적 쉽게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지속가능보고서는 검색으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E 부문에서 방류 폐수에 대해서 TMS (수질자동측정기)를 설치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유독성 물질의 배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화학물질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여러가지 모니터링 등의 노력을 통해 E 부문 평가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S 부문에서 여러 방향으로 고민해봤습니다. 사회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보다가 바이오 학과의 장학재단을 설립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성 임직원의 고용률을 늘리고 글로벌 파트너쉽을 강화하여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협력하는 등의 방안으로 S 부문 평가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G 부문에서 ESG 위원회를 설립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위원회의 구성으로 위 활동들을 도맡아 전담할 수 있기에 중요합니다. 또한 컴플라이언스 경영을 위한 교육을 진행하는 등의 노력을 통해 G 부문 평가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직접 기업의 경영진이 되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고자 짧은 시간의 회의를 통해 여러가지 방안을 도출해내어 표에 나타내고 비즈니스 나인캔버스를 통해 더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번엔 더 다양한 기업들의 사례 분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속가능성을 위해서 ESG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이기에 무조건 알고 있어야 하는 지식입니다!

반응형

'경영 >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경영 시뮬레이션 교육 수료 후기  (0) 2023.07.11

댓글